본문 바로가기
금융·재테크/재무제표 공부

[재무제표 읽기]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과 부채, 안정성 지표 (부채비율, 이자보상배율, 순차입금비율, 현금비율, 유동비율)

by whatisthisblog 2021. 12. 26.
반응형

1.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기업은 영업 활동과 투자를 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해야하는데, 기업이 갖고 있는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도 있습니다. 외부에서 조달한 자금 중 추후에 갚아야할 자금을 부채라고 합니다.
부채로 조달하는 방법으로는 은행차입, 회사채, 특수채(CB, BW) 발행 등이 있고, 자기자본 조달 방법으로는 내부 현금, 유상증자 등이 있습니다.

<부채로 조달>

  • 은행차입 :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방법입니다. 은행은 주로 담보를 요구하나, 기업의 신용이 좋을 경우 무담보대출을 해주기도 합니다.
    은행 대출은 이자율이 낮고, 언제든 상환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회사채 발행 : 기업의 신용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금융기관이 채권 원리금에 상환보증을 서주는 보증채권을 발행하지만, 신용이 높을 경우 무보증 채권을 발행하기도 합니다.
    보증채권의 경우 해당 금융기관에 보증수수료를 지급해야하므로 은행 대출보다 비용이 큽니다.

  • 특수채(CB, BW) 발행 : 은행차입이 어렵고, 회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 감당이 어려운 기업들이 주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주식전환 등의 조건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입니다. 무이자 혹은 낮은 이율로 채권 발행이 가능하며,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자기자본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부채인 동시에 자본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자기자본으로 조달>

  • 내부자금 : 기업의 이익으로 쌓아둔 내부 현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 유상증자 : 주주가 자금을 추가로 출자하여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2. 부채

외부에서 조달한 자금은 대부분 이자를 내야하며 만기일이 존재합니다.
이렇듯 부채는 이자와 만기일이라는 부담감이 있기 때문에 내부자본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내부자금으로 모두 충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기업은 부채를 활용해 자본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면 레버러지 효과를 통해 더 큰 영업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부채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기보단, 해당 기업이 갖고 있는 부채의 종류와 비율, 방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채는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뉘며, 유동부채에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회사채, 충당부채 등이 있고, 비유동부채는 사채, 장기차입금, 충당부채, 이연법인세부채 등이 있습니다.

 

3. 부채 관련 재무 안정성 지표

기업의 재무 안정성(건전성)과 관련된 지표로 확인하는 것은 주로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배율, 순차입금비율, 현금비율, 유동비율 등이 있습니다.

  • 부채비율 : 자기자본 대비 부채를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부채비율이 100%라는 것은 자본과 부채의 규모가 같다는 의미이며, 대부분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업종별, 산업별 특성에 따라 정적부채비율이 다르며, 매출의 대부분이 현금결제인 기업의 경우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높아도 괜찮은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부채비율은 절대적인 값도 중요하지만 부채비율이 지속 증가하는지, 낮아지는지 방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이자보상배율 : 기업의 영업이익이 지급해야하는 이자 대비 몇 배의 규모를 나타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 밖에 내지 못하는 것으로 자금 사정이 안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자보상배율이 1.5배 이상이어야 안정하다고 보며, 3년 연속 1배 미만인 기업을 잠재적인 부실기업(한계기업)으로 간주합니다.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순차입금비율 : 자기자본 대비 순차입금의 비율로,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유이자부채를 기업이 갖고 있는 현금으로 모두 갚았을 때 남는 차입금의 비율입니다. 순차입금비율이 낮을수록 좋으며, 마이너스(-)이면 유이자 부채를 모두 갚고도 현금이 남는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20% 이하를 적정비율로 보고 있습니다.

순차입금 = 차입금 - 현금성자산(현금, 예금)
순차입금비율 = 순차입금 / 자본총계

  • 현금비율 : 기업이 1년 안에 갚아야하는 유동부채를 모두 갚을 수 있는 현금 및 예금의 보유 비율을 나타냅니다.
    순수 현금 비율을 보기 때문에 유동성 평가 지표 중에 가장 보수적으로 보는 지표이며, 20%를 적정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금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투자를 하지 않아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금비율 = 현금성자산(현금, 예금) / 유동부채

  • 유동비율 : 유동비율은 기업이 소유한 유동자산으로 만기 1년 이내의 부채를 갚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통 200% 이상을 건전하다고 보고 있으며 100% 이하는 위기 발생 시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 / 유동부채

 

위와 같은 기업들의 안정성 관련 지표들은 HTS, MTS 및 네이버금융의 투자지표 탭 등에서 제공되고 있어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금융 → 해당 기업의 종목분석 탭 → 투자지표 탭 → 안정성 탭)

삼성전자의 안정성 지표들 (출처 : 네이버 금융)

 

※위 내용은 "대한민국 주식투자자를 위한 완벽한 재무제표 읽기, 이강연, 비즈니스북스"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