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포스팅>
[공매도 전면 금지] 적용 기간 및 개선안 발표, 공매도 금지 효과, 과거 주가 추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저 PBR 관련주, 수혜 업종별 분석 - 1 (은행, 보험, 증권, 지주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저 PBR 관련주, 수혜 업종별 분석 - 2 (자동차/부품, 유통/소매주)
1.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금융당국이 작년부터 자본시장 체질 개선 관련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습니다.
작년 11월 발표된 ▲공매도 전면 금지 및 제도 개선을 시작으로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완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추진, ▲ISA 지원 확대, ▲일반주주 이익 보호 강화 등 자본시장과 관련된 정책을 내놓으면서, 국내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주요 정책 추진 방향으로 잡고 있습니다.
[공매도 전면 금지] 적용 기간 및 개선안 발표, 공매도 금지 효과, 과거 주가 추이
이와 더불어 최근 각국 주요 증시 대비 주가 부진을 겪고 있는 국내 주가 부양하고, 만연해진 한국 증시 저평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독려·지원하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기업이 스스로 기업 가치가 낮게 평가되는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 수립 및 실행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며, 주주가치 존중 문화를 확산해 한국 증시의 만연한 저평가를 해소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는,
- 상장사 시가총액/업종별 주요 투자지표 비교 공시
- 기업가치 개선 계획 공표 권고
- 기업가치 제고 노력 우수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인덱스) 및 ETF 도입
등이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일본이 2023년부터 시행한 기업가치 제고정책을 벤치마킹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주요 증시인 토픽스(TOPIX)와 니케이(Nikkei 225) 지수는 기업가치 밸류업 정책 시행과 엔화 약세를 훈풍에 힘입어 2023년 각각 25%, 28% 씩 상승했습니다.
(BOJ의 완화정책, 장기 디플레이션 탈피, 수출 실적 호조세 등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
일본의 증시부양책의 핵심은,
정부가 저 PBR 기업 명단을 공개하면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기업 대상으로 기업가치를 높이고 주주환원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 (지배구조 개선, 자사주 매입, 배당 인상, 비핵심 자산 매각, 수익성 개선)을 요구했던 것 입니다.
또한 ROE가 높고, PBR이 1 이상인 기업이 높은 가중치를 주는 JPX 프라임 150 인덱스를 개발하여 가치가 높고 주주 친화적 경영을 하는 기업들을 선별 투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밖에 영어 공시 확대 등 외국인 투자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급을 개선하는 내용 등이 있습니다.
2.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은? (진짜 저평가 가치주)
- PBR (Price to Books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시가총액을 주당순자산가치(BPS, 장부가치)로 나눈 것으로, 주식 1주가 순 자산의 몇 배의 프리미엄으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냄.
→ PBR 1 이하 : 기업이 갖고있는 순자산 금액보다 기업 가치가 더 낮다 (저평가) -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시가총액을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현 수익으로 몇 년만에 기업 시가총액을 회수할 수 있을지를 나타냄.
→ PER이 높다 : 기업의 수익 대비 주가가 높다(고평가), 혹은 향후 수익 개선이 기대된다 (프리미엄 가치) -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기업이 갖고 있는 자기자본으로 얼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냄. (수익성, 경영효율성)
→ ROE 20% : 자기자본이 10억일 때, 이를 투자해서 2억원의 수익을 낼 수 있음. -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수치로,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냄
- PBR = ROE × PER
- ☆ 주요 주주환원 정책 : 주주들에게 기업의 이익을 돌려주는 것
- 자사주 매입
- 자사주 소각
- 배당 확대
- 배당 제도 개선
PBR : 1배 미만
ROE : 10% 이상
EPS : 꾸준히 증가
비유동자산 비율 : 30% 이하
유동비율 : 200% 이상
이익잉여금 비중 : 70% 이상
자사주 비중 : 10% 이상
배당성향 : 20% 이상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후 PBR 1배 미만의 저 PBR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금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평가 가치주의 핵심은 단순히 PBR이 낮은 것이 아니고, 저평가된 기업 중 주주환원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지 입니다.
즉, 진짜 저평가 가치주를 찾기 위한 지표들을 잘 찾아봐야 합니다.
진짜 저평가 가치주는 PBR이 낮은 기업 중 주주환원에 쓸 수 있는 재원을 충분히, 꾸준히 마련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익을 지속적으로 잘 내고 (ROE ↑, EPS ↑), ▲부채가 적고, ▲자본잉여금 및 ▲보유 자사주가 많아야 합니다.
PBR이 낮더라도 만약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거나, ▲유동 부채가 많아 단기 상환 압박이 높거나, 부동산, 장치, 설비 등 ▲비유동자산 (감가상각 발생 및 현금화 어려움) 비율이 높은 경우, ▲지배구조 및 상속 이슈가 있는 경우 주주환원의 재원을 마련하기 어려울 것 입니다.
저평가 기업의 핵심은
적극적인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
→ 돈 잘 벌고, 부채 없고,
잉여 자본금 및 보유 자사주가 많은 기업
PBR은 ROE와 PER의 함수입니다. (PBR = ROE × PER)
주로 PBR이 낮은 이유는 ROE가 낮기 때문인데, 이는 기업이 이익을 내지 못하거나 이익 대비 자본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기반의 장치 산업과 부동산 등 비유동자산 자본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자본 규모가 큰 기업들이 많습니다.
또한 정유화학,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시클리컬 산업 중심으로 경기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경기 사이클에 따른 이익 변동이 큽니다.
따라서 국내의 PBR이 낮은 기업의 경우 ROE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ROE는 높은데 PER이 (동종 업종 대비) 낮은 경우라면 지배구조, 상속, 대주주 리스크 등의 문제가 있거나 주주환원 정책 미흡 등으로 기업 이익이 제대로 주주에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 혹은 돈은 잘 벌지만 기업 및 산업 자체의 미래 성장성이 둔화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이밖에, 코스피에 상장된 대기업 혹은 그룹 계열사 위주로 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의 경우 수급에 따른 주가 변동이 큰 편인데,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외국인 자급의 신규 유입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외국인의 경우 주로 인덱스 거래를 선호하며 유동성이 풍부한 대형주 위주로 자금 유입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룹 계열사들이 정부 정책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주주환원에 대한 요인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기관의 경우 신규 자금 유입에 대한 한계가 있어 주로 코스닥을 팔아서 코스피 기업들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직후 외국인의 현물 순매수 규모는 역대 2위 수준인 1.9조원이었으며, 대부분 코스피로 유입되었습니다.
3.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 업종 및 관련주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업종은 보험, 증권, 은행 등 ▲금융 업종, ▲자동차, ▲상사 및 자본재, ▲일부 유통업 및 ▲지주사 등이 있습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저 PBR 관련주, 수혜 업종별 분석 - 1 (은행, 보험, 증권, 지주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저 PBR 관련주, 수혜 업종별 분석 - 2 (자동차/부품, 유통/소매주)
이들 모두 PBR이 1배 미만이며, ROE가 높고, 수익도 꾸준히 증가 추세이며 배당 확대 (고배당) 등의 주주환원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위 업종별 ROE 및 2023~2024년 영업이익 증가율을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 및 증권 업종의 ROE가 10% 이상으로 높고, 은행 및 보험업 또한 평균 ROE인 8%를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자동차 및 보험, 증권업은 2023년 영업이익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상사 및 자본재, 소매, 유통, 유틸리티 업종은 작년 뿐만 아니라 올해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배당 매력도의 경우에도 은행, 자동차, 보험, 상사 및 자본재, 증권업의 배당 확대가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기관·외국인 수급이 쏠리고, 주가가 상승한 기업들은 단순 PBR이 낮은 기업이 아닌, 이익이 좋고 적극적인 배당을 확대하는 업종의 기업들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저평가 지표별 수혜 기업 리스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