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및 기업 분석/신재생에너지(수소,풍력,태양광)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LNG 천연가스와 미국의 에너지 패권 전쟁

by whatisthisblog 2025. 4. 19.
반응형

트럼프 행정부의 드릴 베이비 드릴 홍보 스티커 (출처 : REDBUBBLE)

 

 

1. 트럼프와 미국의 새로운 에너지 정책 : LNG(액화천연가스)

 

 

에너지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에너지원 확보를 통한 경제·안보 전략은 전세계적으로 아주 중요했었습니다.
기존에는 석유가 핵심 역할을 해왔다면, 이제는 LNG(액화천연가스)로 그 위상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한국과 일본, 대만 등에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 참여를 독촉하며 그린란드 매입 시도, 심해 시추와 신규 파이프라인 확대를 승인하는 등의 배경입니다.

 

 

미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개요 (출처 : 조선일보, 양인성)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생산되는 셰일가스와 천연가스를 통해 에너지 자급자족을 넘어 에너지 패권을 거머쥐려는 정책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AI를 위한 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에 막대한 전기가 필요로 하게 되었고, ▲중동 OPEC으로부터의 완전한 에너지 독립과 ▲러시아 및 중국 견제,  ▲에너지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변모, ▲신재생에너지 전환 지연, ▲미국 내 에너지 물가 부담 완화가 있습니다.

 

 

천연가스 매장량 및 생산량 Top5 국가
천연가스 매장량 및 생산량 Top5 국가 (출처 : 하나증권)

 

 

이전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쏟아냈으나 아직 시장성이 떨어지고 관련 산업이 중국과 맞닿아 있으며, AI 돌풍으로 인한 막대한 전력 소요코로나와 러-우 전쟁으로 인해 너지원의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전세계에 들이닥치자 다시 전통 에너지원으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이에 천연가스는 석유에서 신재생에너지로 넘어가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해줄 수 있으면서, 기술 발전으로 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원입니다.

거기에 미국은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5번째 국가이며, 생산량 1위의 국가입니다.
미국이 전세계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에너지원 의존도를 높여 전략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핵심 자원인 것입니다.

 

 

주요 생산국별 LNG 수출량 및 미국의 관련 제품 수출/수입량 추이
주요 생산국별 LNG 수출량 및 미국의 관련 제품 수출/수입량 추이 (출처 : 삼성증권)

 

 

특히 동남아시아와 인도의 경제 발전으로 아시아의 LNG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 입장에서는 에너지 수출을 위한 시장 확대 및 태평양 동맹 확대가 가능해집니다.

중국 또한 LNG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으로, 러시아와 중국 연합 가운데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됩니다.

 

 

미국과 글로벌 발전원별 발전 비중
미국과 글로벌 발전원별 발전 비중 (출처 : 하나증권)

 

중국과 동남아의 LNG 수요 증가 추이 (출처 : 하나증권)
중국과 동남아의 LNG 수요 증가 추이 (출처 : 하나증권)

 

대륙별 전력 사용량 추이
대륙별 전력 사용량 추이 (출처 : 하나증권)

 

 

 

 

반응형

댓글